통계청의 장래인구 추계, 10년마다 본 인구피라미드
우리의 장래의 인구가 어떻게 변화될 것인지를 보는 것은 재미 있기도 하면서도 미래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모습을 예측하는 데 매우 유익한 자료가 되기도 합니다.
통계청의 홈페이지에 가 보면 인구피라미드에 관련된 자료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통계청에서는 향후 인구변동(출생, 사망, 국제이동)을 고려하여 장래추계 변화를 그래프로 작성했습니다. 저는 10년 단위로 끊어서 우리 인구의 장래 추이를 살펴보았습니다.
이러한 그래프를 종합하면 아래와 같은 결론에 다다르게 됩니다.
- 인구성장 중위가정에 따르면, 총인구 2010년 4,941만명에서 2030년 5,216만명까지 성장, 이후 감소하여 2060년에 4,396만명 수준
- 인구 저성장 가정시, 인구정점은 2016년(5,002만명)으로 이동, 2060년 인구는 3,447만명
- 인구성장률은 2010년 0.46%, 2020년 0.28%, 2031년부터 마이너스 성장을 시작, 2060년 -1.0% 수준
-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2016년 3,704만명(인구의 72.9%)을 정점으로 감소, 2060년 2,187만명(49.7%)
- 65세이상 고령인구는 2010년(545만명)에 비해, 2030년 2.3배(1,269만명), 2060년 3배(1,762만명)이상 증가
- 0-14세 유소년인구는 2010년 798만명(16.1%)에서 2016년까지 1백만명 이상 급감, 2060년 447만명으로 2010년의 56% 수준으로 감소
- 고령인구 규모는 2017년 유소년인구를 초과, 2030년에는 유소년인구의 2배, 2060년 4배까지 늘어날 전망
- 생산가능인구 1백명당 부양인구는 2012년 36.8명(노인 16.1명)까지 낮아진 후 증가, 2060년 101.0명(노인 80.6명)으로 부양인구가 더 많아
전체 인구를 보면, 앞으로 제가 살아갈 2060년까지는 크게 인구가 변동하지 않고 지금의 수준에서 조금씩 줄거나 느는 수준일 것입니다. 2030년부터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해서 2060년에는 4,396만명 수준이라고 하니 인구의 변동은 아주 크지는 않은 수준이라고 봅니다. 하지만 그 이후에는 더욱 인구가 줄어들 수도 있어 걱정이 되네요.
어떠신가요? 이것을 보신 분들 중에서 많은 분들은 우리의 장래가 걱정된다고 느끼시겠지요? 저도 그렇습니다. 우리의 후손들은 인구가 줄어들어서 더 넓고 더 편하게 살지, 아니면 우리들을 부양하느라 더 고생하게 될지 두고 봐야 하겠네요. 하지만 경제적인 활력은 크게 줄어들 것 같습니다.
'사건 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구피라미드와 그 이유설명: 80년대의 가족계획을 한탄하며 (0) | 2014.11.21 |
---|---|
(소주) 술집에서의 고민, 참이슬과 처음처럼 (0) | 2014.10.26 |
감성공학과 아이폰, 그리고 문과의 눈물 (0) | 2014.10.24 |
가와바타 야스나리가 평화헌법을 반대? (0) | 2014.10.23 |
세슘의 위험과 질병 (0) | 2014.10.17 |